청년들의 첫 차, 전기차로! 정부 보조금 및 친환경차·이차전지 강화 방안 발표
정부가 친환경차 보급 확대와 이차전지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규모 지원 방안을 발표했습니다. 특히, 청년들이 생애 첫 차로 전기차를 구매할 경우 보조금을 20%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는 정책이 포함되어 주목받고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요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.
청년들의 첫 전기차 구매, 보조금 20% 추가 지원
정부는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이 생애 첫 차로 전기차를 구매할 경우 기존 보조금에 20%를 추가 지원하기로 했습니다. 예를 들어, 판매가 5,000만 원의 전기차를 구매할 경우 최대 580만 원의 국비 보조금에 더해 116만 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. 여기에 제조사의 할인 인센티브까지 더하면 최대 836만 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.
또한, 친환경차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혜택은 2027년까지 연장되며, 중·대형 전기승용차의 세제 혜택 대상도 확대됩니다. 이를 통해 더 많은 소비자가 친환경차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.
이차전지 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
이차전지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는 올해 정책금융 규모를 지난해보다 30% 이상 늘린 7조 9,000억 원으로 확대했습니다. 주요 투자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특화단지 인프라 구축: 지난해 지정된 이차전지 특화단지(4곳)에 국비 252억 원을 투입해 전력, 폐수, 도로 등 인프라를 확충합니다.
- 공급망 안정화: 공급망안정화기금을 활용해 배터리 소재·광물의 내재화와 다변화를 지원합니다.
- R&D 및 세액공제: 이차전지 핵심광물 제조·가공 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선정하고, 연구개발(R&D)과 투자에 대해 최대 50%와 35%의 우대 공제율을 적용합니다.
친환경 모빌리티 확대
정부는 전기차뿐만 아니라 수소차 보급도 적극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.
- 수소충전소 확충: 현재 56개인 상용차용 수소충전소를 2027년까지 119개로 늘리고, 이동형 충전소 등 다양한 유형을 도입합니다.
- 수소버스 전환: 수도권 광역버스의 25%를 수소버스로 전환하며, 수소연료보조금 상향 및 천연가스 요금 인하 조치를 연장합니다.
첨단 기술력 강화
미래 자동차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.
- 자율주행 기술: 레벨4 자율주행 상용화를 목표로 범부처 자율주행 통합 기술 로드맵을 마련하며, 차세대 자동차 플랫폼 개발에도 나섭니다.
- 핵심 부품 개발: 배터리와 모터 등 전기차 핵심 부품 기술 개발에 올해만 4,300억 원을 투자합니다.
대외 불확실성 대응
미국 신정부 출범 등 대외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이 추진됩니다.
- 해외 완성차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국내 부품기업의 해외 공급망 편입 지원
- 국내 마더팩토리 거점 강화를 위한 민관합동 투자·규제 애로 해소 지원
이번 정책은 청년층의 전기차 구매 장벽을 낮추고, 국내 친환경 모빌리티 및 이차전지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도시가스 요금 감면 신청방법 (0) | 2025.02.13 |
---|---|
국민취업제도 신청 방법 (0) | 2025.02.13 |
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방급 (0) | 2025.02.12 |
2025 근로자 휴가비 지원 요건 (0) | 2025.02.12 |
재개발 1+1 입주권 요건 장단점 (0) | 2025.02.12 |